2007년 4월 25일 수요일

표절인가 아트인가, 명화패러디 광고

다빈치의 그림 속 모나리자가 코믹하게 씽긋 웃는다거나 실제 사람을 이용해
명화 속 한장면을 연출하는 이런 류의 광고들을 한번쯤은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바로 명화패러디 광고이다.

어디선가 본듯한 명화그림에 중장비인 크레인 기기들이 들어가 있다?!
최근 독일의 크레인 회사 ‘히아브’에서 만든 기업홍보 캘린더가 화제가 됐었다.
눈에 익은 명화작품 속에 크레인 장비차가 마치 원래 그 자리에 있었던 것처럼 들어가 있는이 광고는, 잘 만든 명화패러디광고로 제작된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AQUOS(LCD TV) - 2007. 02. 10
쇠라 [그랑자트섬의 오후] 를 패러디











SHARP AQUOS - 2006. 05. 25.

반고흐 [해바라기] 를 패러디한 광고


반고흐 [밤의 카페테라스] 를 패러디





그럼 명화광고의 장점은 무엇일까?
루브르 박물관에나 가야 볼 수 있고 개인이 소장하기 힘들었던 명화들을마트나 TV속에서, 또는 블로그나 미니홈피 등에서도 손쉽게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우리 일상에 예술을 가까이 두고 볼 수 있는 즐거움
또한, 기업의 새롭고 강렬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힘이 있다.

그렇지만 단점도 있다.
자칫 ‘패러디’가 ‘표절’로 오인될 수 있다는 점이다.
누구나 알고 있는 명화 이미지에 비슷한 방식으로 제품과 기업의 이미지를 삽입하여표현하기 때문인데 그러기에 이러한 광고는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그림에 ‘예술’의 느낌을 보존하는 범위 내에서 얼마나 위트있게 활용하느냐가 관건이다.

2007년 4월 23일 월요일

조손가정돕기 "할머니는 우리엄마"나눔축체

손자나 손녀가 부모 없이 (외)할아버지, (외)할머니와 함께 사는 가정을 조부모 가정 또는 조손가정이라고 합니다.

이런 가정의 대부분은 아이 부모의 이혼(43%)이나 경제난(16.8%),실직(6%),가출 또는 사망등의 이유로 발생하게 되는데, 법적으로는 보호자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기때문에 의료나 교육비 지원혜택을 받기 힘든 어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할머니,할아버지는 일정한 수입 없이 노인 복지금만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나 정서적으로 힘겨운 생활을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러한 조손가정이 2005년엔 5만 8101가구에 19만6076명,2000년 4만 5000가구에서 만 5년 새 1만 가구가 증가했다고 합니다. 그 가운데 정부의 가정위탁 지원금을 받는 것은 전체 조손 가정의 단 9% 정도..

우리 주변에는 우리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 수많은 조손가정이 있습니다.
소외된 이웃에게 웃음과 행복을 나누는 일에 앞장 서온 한국 복지 재단에서 가정의 달 5월을 더욱 뜻깊게 하는 조손가정돕기 “할머니는 우리엄마~”나눔 축제를개최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인 할머니, 할아버지에 대한 특별한 사랑을 떠올려 보는 "블로거가 참여하는 할머니,할아버지의 사랑" 사진전을 개최합니다.블로거 여러분들이 보내주신 할머니,할아버지 사진으로 본 나눔축제를 더 의미있는 시간들로 가득 채워주세요.
함께 나누어 더 뿌듯한-그 소중한 마음을 여러분과 나누겠습니다.

<행사 홈페이지 링크 >
http://www.kwf.or.kr/campagin/campagin_content.asp?code=campagin01&idx=77









한 장의 할머니 사진에 수많은 인생의 부침이 묻어난다
생각해보면 할머니들이 살았던 시대는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시대와는 너무나 다른 격동의 시기를 살아오신 것 같다.
나의 할머니, 그리고 우리 주위에 보게되는 할머니들...
그들은 모두 우리를 위해 청춘을 희생하고 이제는 저 그늘 한켠으로
물러난 이방인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릴적 할머니가 만들어 주시던 맛있는 음식들과 구수한 사투리,
할머니 집의 공기까지 이제는 추억의 한 부분이 되었다.
우리 주위 할머니들의 얼굴에서 고된 주름과 고독을 보기 보다는
좀더 편안하고 여유로운 미소를 볼 수 있는 그 날이 왔으면 좋겠다.